정의
인증 결제는 카드의 소유자 여부임을 확인하여 인증을 받고 해당 인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승인을 진행하는 방식인데 비해 비인증 결제는 단순히 카드정보만을 이용해 결제 하는 방식입니다.
즉 앱카드, SMS 인증등이 없이
•
카드 번호
•
유효기간
•
소유자의 생년월일
•
비밀번호
보통 이 4가지 또는 4가지 중 일부 정보 만으로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즉 카드사에서 별도의 인증을 하지 않으므로 결제를 쉽게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카드를 도용하거나 습득한 카드를 이용해서 쉽게 결제가 가능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래서 비인증 결제를 하는 경우 카드사 심사 진행시에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고, 또한 도용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귀책 사유를 가맹점에 물어서 도용 금액을 가맹점이 배상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인증 결제가 꼭 필요한지 판단하시고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 시나리오
1.
전화 주문등, 콜센터에서 고객의 카드 정보를 받아 대신 결제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2.
고객의 나이대가 높거나 가족카드를 이용하는 등 인증 절차를 거치기 어려운 경우,
3.
시험 및 원서 접수 처럼 정해진 시간안에 결제를 진행해야 해서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되면 시간이 소요 되어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4.
법인 카드로 결제가 많이 발생하는 가맹점의 경우 (법인 카드의 경우 소유자가 법인이라 인증을 받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습니다.)
고려 사항
비인증 결제는 결제를 쉽게 할수 있는 반면에 도용의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위험을 최대한 회피 하기 위해 비인증 결제에 필요한 4개의 정보(카드번호, 유효기간, 생년월일, 비밀번호) 를 모두 입력하여 결제 하는 것을 권장 합니다
그러나 일부 가맹점의 경우 결제 편의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전화결제시 여러 숫자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제에 필요한 정보 중 일부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
카드번호, 유효기간, 생년월일, 비밀번호 모두 사용 : 비인증 결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카드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방식입니다.
•
카드번호, 유효기간, 생년월일 만 사용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인증 결제 방식입니다.
•
카드번호, 유효기간 만 사용 :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증이 가능한 안심키인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카드번호, 유효기간만 사용하는 결제는 카드사 심사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안심키인을 제외한 경우에 카유만 사용하시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결제에 필요한 정보가 줄어들수록 업종제한이 생기거나 카드사 심사, PG 심사가 어려워 지게 됩니다.
또한, 전화 주문을 사용하는 경우 아무나 결제창에 진입하지 못하게 하기위해 결제창 진입 전에 법인 인증서를 통해 인증을 진행하는 안심 키인이라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비인증 결제의 위험성을 일부 보완하기 위해 결제에 필요한 정보의 수준을 조절 하거나, 결제창에 진입하기 위해 별도 인증(공인인증서)을 거는 것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신한카드의 경우 비인증 결제 기본이 카드번호, 유효기간, 생년월일 만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만약 신한카드 역시 비밀번호 를 포함해서 검증이 필요하다면 별도로 요청해 주셔야 합니다.
토스페이먼츠가 제공하는 비인증 결제 방식
비인증 결제 방식으로는 크게 3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증 결제 방식과 유사하고 통합결제창 스타일로 토스페이먼츠가 제공하는 1)기본 결제창과 결제창 진입 전에 법인인증서를 통한 인증이 필요한 2)안심키인 결제창, 그리고 3)Restful API 로 카드정보를 넘겨 결제할 수 있는 키인결제 방법이 가능합니다.
테스트 환경
비인증 결제 중 Restful API 방식 이외에는 별도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비인증 결제용 상점도 테스트 키를 이용하면 인증용 통합결제창이 뜨게 되고 안심 키인은 창을 띄우지 못합니다. 비인증 결제는 꼭 라이브 환경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